[시리즈M] ‘5.18 40주년 특집’…‘나는 기억한다’

오는 5월 14일(목) 방송되는 MBC ‘시리즈M’에서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특집 다큐멘터리 ‘나는 기억한다’가 방송된다.

MBC ‘시리즈M’ ‘5.18 40주년 특집 다큐멘터리’, ‘나는 기억한다’는 5.18을 직접 목격한 사람들이 남긴 기록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증언을 통해 1980년 5월의 광주를 생생히 재현한다.

특히 ‘나는 기억한다’ 제작진은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해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국내외의 기록물들을 수집, 연구했으며 이 과정에서 고 윤상원 열사의 마지막 순간을 담은 동영상, 27일 도청 진압작전 이후 20사단 계엄군 장교의 인터뷰 동영상 등 역사적으로 가치가 높은 자료들을 발견했다. 이 영상기록물들은 지난 40년 동안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 각종 다큐멘터리나 기획보도물 등에서 한 번도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1980년 5월 27일 새벽 계엄군의 전남도청 진압작적의 상황을 시청자들에게 생생히 전달할 것이다.

‘나는 기억한다’ 제작진은 5.18 당시 항쟁을 직접 목격한 사람들이 남긴 기록과 증언을 영상으로 담아냈다. 제작진은 ‘5.18 민주화운동기록관’과의 협업을 통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오월 일기’를 수장고에서 꺼내 촬영할 수 있었다. 일기 작성자인 당시 광주 시민이 자신의 40년 전 일기를 직접 낭독하며 증언한다.

특히 당시 광주여고 3학년이었던 주소연은 1980년 5월 당시, 자신이 직접 칼로 오려 붙여가며 만든 신문 기사 스크랩을 바탕으로 일기를 썼는데, 여고생이 본 광주의 현실과 당시 언론 보도의 내용은 너무나도 달랐기 때문에, 그가 남긴 40년 전 일기에는 분노와 좌절이 그대로 표현되고 있다.

한국인뿐 아니라 외국인 목격자의 증언에도 주목했다. 당시 전라남도 나주에서 한센병 환자들과 생활하며 봉사활동을 하던 미국인 폴 코트라이트(Paul Courtright)는 항쟁이 일어나자 광주로 들어가 희생자들의 시신이 안치되어 있던 상무관에서 외신기자들과 광주시민들 사이에서 통역 일을 하면서 5.18 민주화운동을 목격한다. 그 역시 자신이 목격한 것을 일지로 남겼고, 이를 바탕으로 증언한다.

또한 당시 전남대학교에서 유학 중이던 미국인 린다 루이스 (Linda Lewis), AP통신 기자로 광주에 들어와 취재했던 테리 앤더슨(Terry Anderson), 한국일보 기자로 광주를 취재한 조성호 등도 이 역사적인 다큐멘터리에 자신의 기록을 공개하며 증언한다.

 

이 다큐멘터리에 참여한 증언자 중에서 특히 세 명의 사연은 매우 가슴 아프다.

역사가 기록하듯 1980년 5월 27일, 계엄군의 도청진압작전으로 광주시민들의 항쟁은 끝이 나는데, 마지막 순간까지 항쟁을 이어가기 위해 노력했던 시민군들이 있었다. 광주여고 3학년이었던 주소연과, 동국대학교 학생이던 박병규 역시 그랬다.

주소연은 1980년 5월 22일 도청 취사반에 자원해 시민군을 위해 밥을 짓는 일을 하기 시작하는데, 이런 주소연을 보살피며 옆에서 도와주었던 것은 시민군 취사반 반장 오빠 박병규였다.

‘끝까지 싸우자’라고 맹세했던 시민군이었지만, 5월 27일 새벽 계엄군이 도청으로 공격해온다는 마지막 소식을 들은 박병규는 동생 같은 주소연의 손을 이끌고 그들을 도청 바깥으로 피신시켰다. 주소연은 박병규에게도 ‘오빠도 도청으로 돌아가지 말라’고 부탁했지만, 총을 멘 박병규는 ‘나는 끝까지 싸우겠다’라는 말을 남기고 도청으로 돌아갔고, 27일 아침 도청 근처 화단에서 주검으로 발견되었다.

박병규의 싸늘한 시신은 27일 아침, 당시 광주를 취재하던 기자 조성호에 의해 도청 근처 화단에서 발견되었다.

오랜 기간, 자신이 시민군이었음을 주변 사람들에게 이야기하지 않던 주소연은 이번 다큐멘터리를 통해 자신의 사연을 공개했고, 박병규의 마지막 순간을 목격한 조성호를 만나게 된다. 이 과정 역시 다큐멘터리에서 소개될 것이다.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