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명적인 전염병 확산이 사람의 행태를 바꾸고,
무역과 소비를 위축시키고, 경제 활동의 구조를 바꿔 버렸다”
전염병과 경제악화, 대표적인 사례가 2014년에 발발한 에볼라 바이러스다. 치사율 50%에 달하는 무서운 질병 에볼라 바이러스는 고도 경제 성장을 시작했던 서아프리카 경제를 무너뜨렸고 실업률과 빈곤층 또한 증가시켰다. 전염병보다 더 큰 타격을 입은 경제! 코로나 19와 싸우는 지금보다, 앞으로의 경제 위기가 더 급박한 상황이다.
벌써 코로나로 인해 항공과 여행, 무역업, 운송업 등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더 주목해야 할 사실은 시작점이었던 중국은 물론, 유럽, 미국, 일본 등 글로벌 경제에서 주요 위치를 차지한 나라들이, 그리고 한국 경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라들이 모두 전반적인 침체 국면에 돌입했다는 것이다.
팬데믹, 예고된 미래
“존망지추의 위기. 코로나로 인해 이 충격이 가계로 내려오면
국민들은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그 직격탄은 이미 일자리에서 시작되고 있다.”
사실 97년 IMF 사태와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등 한국 경제는 이미 기저 질환을 지닌 상태였다. 노동 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미국이나 유럽과 달리, 한국은 주 52시간 제도가 경직적으로 운영되면서 기업과 노동자 모두에게 어려움이 생겼고 기업의 활력 또한 하락했다. 가장 급박하게 당면한 문제는 바로 실업 팬데믹! 지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거의 전 연령대에서 취업자가 감소했고, 글로벌 금융 위기 때인 2009년 5월 24만 명 감소 이후 최대치다. 그렇다면 절망만 해야 할까?
나눔에서 회복으로!
“단순히 일자리를 나누는 것이 아닌 경제적 이해관계를 고려한 정교한 ‘나눔’이 필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문제에 대한 답을 ‘혁신’에서 찾아야 한다.”
2008년 금융 위기 상황에서도 해고 대신 근로 시간을 줄이고 임금을 낮춘 독일을 보자! 실업은 수요를 감소시켜 경기 불황을 지속시킬 수 있다. 노동비용 증가, 수출 환경 악화 같은 어려움에 처한 한국 경제의 경우, 임금은 줄이고 일자리는 유지하는 방법은 어떨까? 단순히 일자리를 나누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이해관계를 고려한 정교한‘나눔’이다.
또 하나의 방법은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것이다. 그 해답은‘혁신’에 있다. 코로나 19 이후 대면 일자리는 사라졌지만 언택트 사회로의 변화는 진행 중이다. 온라인 배송의 혁신을 가져온 스타트업, 코로나 진단 키트나 시약 등 떠오르는 바이오산업 등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된 분야를 주목해 보자. 역사를 보면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일자리도 새롭게 변화하고 생긴다. 경제에 기초한 변혁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