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DT 학부모 부정의견 압도 학부모 68% ‘디지털 과몰입 걱정’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해 정부가 직접 조사한 최초 설문조사에서 학부모들은 디지털 과몰입 등의 부작용을 더 우려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같이 학부모들의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교육부가 이를 공개하지 않은 채 AIDT 도입을 강행하고 있어 교육현장의 갈등이 우려된다.

더불어민주당 교육위원회 정을호 국회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AIDT에 관한 1,180명의 학부모 정책 모니터단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AIDT 도입에 따른 교육 효과와 관련된 9개 질문 중 단 하나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부정적인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부정적인 답변이 가장 많았던 항목은 ▲“디지털 기기 과의존 문제가 발생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68.3%의 학부모가‘그렇다’또는‘매우 그렇다’로 답변하며, 자녀들의 디지털 기기 의존 문제가 심각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교사-학생 간 소통에 도움 될 것이가”라는 질문에 56%가 부정적으로 응답했으며 ▲“교사들이 학생 개별 지도에 도움이 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도 53.3%가 ‘그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로 답변했다. 이러한 결과는 AIDT가 교사와 학생 사이의 관계를 약화시킬 것이고, 맞춤형 개별 지도를 어렵게 할 것이라는 학부모들의 걱정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유일하게 긍정적인 답변이 우세했던 항목은 ▲“AIDT가 학교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인가?”였다. 그러나 이 문항조차 긍정 응답률은 38.4%에 불과했고, 부정 응답(35.7%)과의 차이는 단 2.7%p로 크지 않았다.

이에 정을호 의원은 “교육부가 AIDT 도입 부정 의견이 많고, 국회 반대에도 불구하고 도입을 강행하고 있는 가운데, 학부모들 역시 부작용을 걱정하며 정부의 AIDT 도입에 동의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 의원은 “정부의 AIDT 도입에 대해 국회, 학부모들의 도입 반대 의견이 우세한 만큼, 더 이상 무책임한 정책 강행을 중단하고 우리 학생들을 위한 고민을 함께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교육부가 2024년 학부모 정책 모니터단(초·중·고 자녀를 둔 학부모) 1,180명을 대상으로 2025년 1월 16일에서 2월 4일까지 20일간 실시했다. 2023년 AI 디지털교과서 추진방안 수립 이후, 최초로 AIDT 인식조사가 실시됐다.

댓글 남기기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