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의장, 망우역사문화공원 유관순 열사 묘역 참배

우원식 국회의장은 2일 오후 서울 중랑구 망우역사문화공원을 찾아 유관순 열사 묘역을 참배했다.

 

우 의장은 추석을 앞두고 유관순 열사를 비롯한 애국지사 묘역을 찾았다며 외조부 김한 선생께서 독립운동을 하다 연해주에서 희생된 후 유해를 찾지 못해 성묘조차 가지 못하는데그래서인지 오늘 이곳에 오는 길이 성묘길처럼 느껴졌다고 말했다.

 

이어 우 의장은 유관순 열사는 3·1운동을 대표하는 독립운동가이자 비폭력 저항운동의 상징이라며 옥중에서도 만세운동을 이어가며 수감된 여성 독립운동가들과 노래를 지어 불렀는데지난 광복절 국회 전야제에서도 그 노래 제목을 따 대한이 살았다라는 이름으로 국민과 함께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관순 열사는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모르는 국민이 없는 독립운동가이지만지금 보듯 제대로 된 묘소조차 없고 작은 봉분과 합장 표지비만 남아 있다며 만세운동 당시 부모님이 희생되고옥중에서 순국한 열사의 유해를 이화학당이 수습해 이태원에 매장됐지만일제의 공동묘지 이장 과정에서 무연고로 분류돼 이곳에 합장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우 의장은 일제에 무참히 희생되신 것만도 원통한데유해마저 온전히 모시지 못한 현실이 참으로 송구하다며 “‘유관순 열사 분묘 합장 표지비는 가슴 아픈 우리 역사의 흔적이며그 정신과 희생을 우리가 반드시 기억하고 기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열사가 다니던 이화학당의 후배들이 뜻을 모아 새로운 유관순 기념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들었다며 그 노력을 응원하고 관심을 갖겠다고 밝혔다.

 

우 의장은 국회도 지난 8월 무명의 독립군을 기리기 위해 독립기억광장을 조성했다며 앞으로도 독립운동의 역사를 알리고 선열들의 뜻을 기리는 일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묘역참배 현장을 함께 한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우리 역사가 후퇴·지체한 경우도 있었지만그래도 진보하여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며 빛의 혁명촛불 혁명의 뿌리는 3.1운동그리고 그 전의 임진왜란 시기의 의병들이라고 설명했다유 관장은 그러한 민족적 DNA와 자부심은 결국 우리들 속에 있고국립중앙박물관에 전세계가 관심을 갖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이날 우 의장은 유관순 열사 묘역을 참배한 뒤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과 함께 조봉암·한용운·오세창 선생 등 독립운동가들의 묘역도 찾아 그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렸다.

 

이번 참배에는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류경기 중랑구청장정창용 이화학원 이사장박영혜 이화여고 교장과 이화여고 학생 등이 함께했다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Akismet을 사용하여 스팸을 줄입니다. 댓글 데이터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