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U 자형 국가철도망 완성을 위한 마지막 단절 구간인 전남북 서해안 지역을 철도와 관광을 접목시킨 ‘ 서해안철도관광 시대 ’ 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공감대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 18 일 ( 화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고창군 윤준병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이 ‘ 서해안철도 건설 정책 포럼 ’ 을 개최했다 .
이날 국회의원회관 제 1 소회의실에서 열린 정책 포럼은 윤준병 의원을 비롯해 신영대 · 이원택 · 김원이 · 이개호 · 서삼석 국회의원과 전북특별자치도 · 전라남도 · 고창군 · 군산시 · 부안군 · 목포시 · 함평군 · 영광군 등 전남북 정치권 및 지방자치단체들이 공동주최하며 서해안철도 건설에 대한 뜻을 모았다 .
윤준병 의원은 포럼 인사말에서 “ 전남북 서해안 지역은 동해안 지역과 달리 철도의 불모지로 남아 있는 유일한 지역 ” 이라고 운을 떼며 “ 최근 동해선은 완전히 개통됐고 경기 · 충청지역도 서해선 · 평택선 등 철도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는 것과 달리 , 전남북 서해안은 많은 관광자원과 새만금 , 첨단산업이 집적화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 열악한 철도교통망으로 인해 관광 · 산업 · 물류 등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 고 지적했다 .
이어 윤 의원은 “ 특히 경제성의 잣대로만 평가되는 예비타당성조사 제도로 인해 전남북 서해안의 철도교통망 건설은 더욱 요원해지고 있는 만큼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 며 “ 지난 1 월 서해안철도 통과지역 국회의원들과 함께 「 서해안철도 건설을 위한 특별법안 」 을 대표 발의한 데 이어 , 오늘 서해안 철도 건설 정책 포럼을 통하여 전남북 서해안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더욱 앞장서겠다 ” 고 강조했다 .
서해안 철도 건설 정책 포럼은 1·2 부로 나누어 진행됐다 . 1 부에서는 △ ‘ 제 5 차 국가철도망 – 서해안철도 반영을 위한 공동건의문 ’ 낭독 및 채택 , △ 서해안철도 건설 퍼포먼스 , △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 서명부 전달이 진행되었고 , 이어진 2 부에서는 정진혁 연세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 기조발제와 토론이 이뤄졌다 .
‘ 서해안철도 구축계획 ( 안 ) 및 발전방향 ’ 을 주제로 발제에 나선 김진희 연세대학교 교수는 “ 서해안철도는 국가계획과 부합하고 지역주민 수용성 , 지역낙후도 개선 ,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크다 ” 며 “ 교량 최소화 등 사업비를 줄이고 , 장래 교통수요를 고려한 신설역을 검토해 경제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 고 밝혔다 .
이어 이호 한국교통연구원 철도교통본부장 , 권용석 전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 박제진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 김형우 전북특별자치도 건설교통국장 , 김재인 전라남도 도로정책과장 , 이상준 전남연구원 공간환경연구실 부연구위원 , 김상엽 전북연구원 지역혁신정책실 선임연구위원이 토론자로 나서 서해안철도 건설의 필요성과 역할 등에 대한 열띤 토론이 이뤄졌다 .
한편 , 이날 정책 포럼에는 서해안철도 통과지역 및 전남북 국회의원 , 전북특별자치도지사와 전라남도지사 및 시장 · 군수 , 시 · 군의회 및 지역주민 등 총 100 여 명이 넘게 참석하면서 서해안철도 건설을 위한 많은 관심을 드러냈다 . 이번 정책 포럼 개최를 통하여 서해안철도 건설의 중요성이 재조명되고 , 제 5 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되기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