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와이어) 2019년 07월 11일 — 오랜 세월 해외에 방치된 한국 문화유산의 실태를 알리고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고군분투한 한 역사학자의 개정·증보 답사기가 출간됐다.
문명비평사는 해외로 흩어진 한국의 역사 문화 유적을 직접 답사하고 그 참담한 실태를 기록한 역사학자 최근식의 <개정·증보 한국 해외문화유적 답사비평>을 펴냈다.
이 책은 모두 16개의 답사기를 통해 해외 한국 문화유산이 푸대접받고 있다는 사실과 저자가 이에 대한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벌인 활동을 기록하고 있다.
일례로 2007년 저자가 독일의 구텐베르크 박물관에 방문할 당시 한국, 중국, 일본의 인쇄 유물들을 한 공간에 배치하고 있었으나, ‘CHINA’, ‘JAPAN’으로 명시된 중국 및 일본의 것과 대조적으로 한국의 유물에만 국가 표시가 없었다. 특히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인 ‘직지’는 일본의 우키요에 옆에 아무런 표시 없이 전시돼 있어 사전 지식이 없는 이들이 본다면 일본의 것으로 착각할 만했다.
이에 필자는 독일의 구텐베르크 박물관 큐레이터에게 한국실에 대한 명패 부착을 부탁하고 귀국 후에는 박물관장에게 이메일로 같은 내용을 재차 요청했다. 그 결과 2008년 그곳을 다시 방문했을 때 직지 옆에 ‘KOREA’라는 명패가 붙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국박물관에서도 동양 3국 중 한국실만 유독 부실하게 전시돼 있었고, 불국사에서 중국 흥교사에 기증한 원측 스님 기념종은 먼지 가득한 창고에 방치돼 있었다. 이밖에도 해외로 흩어진 한국의 문화유산이 푸대접 받고 있음을 고발하는 사례는 차고 넘친다.
저자는 개정·증보판의 머리말에 “잘못된 문화재 관리에 대해 목소리를 내려는 노력이 한국 사회와 역사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문화재 보존 노력의 중요성에 대해 밝혔다.
이번 책은 2013년에 출간된 <한국 해외문화유적 답사비평>의 개정·증보판으로, 장보고 대사와 관련한 중국 지역 답사기와 갈라파고스 푼타아레나스 이스터섬 답사기 등을 추가하고 일본 왕인 박사 기념비 재답사 결과 등 초판 출간 이후의 답사 기록을 보완했다.
저자는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의 연구교수를 역임했고 고려대학교 등에서 20년간 강의(명강강독)했다. 2016년부터 3년간 사단법인 장보고글로벌재단의 이사로 재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