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악의 동시다발 산불로 국가유산도 막대한 피해

지난 21 일 경남 산청 , 경북 의성 , 울산 울주 등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안동 , 청송 영양 , 영덕 등으로 번지며 국가지정 문화유산 11 건과 시도지정 문화유산 19 건 등 총 30 건 (3.30, 17 시 기준 ) 이 피해를 입은 가운데 국가유산청의 화재 대응 매뉴얼이 사실상 유명무실한 것으로 알려졌다 .

김승수 국회의원 ( 국민의힘 · 대구 북구을 ) 이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5.3 월 산불 관련 국가유산 피해 현황 ’ 에 따르면 , 국가지정 문화유산 가운데 보물 2 건 , 명승 3 건 , 천연기념물 3 건 , 민속 3 건 등 총 11 건 , 시도지정 문화유산 가운데 기념물 3 건 , 유형문화유산 3 건 , 민속문화유산 6 건 , 문화유산 자료 7 건 등 총 19 건이 피해를 입었다 .

▲ 통일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하는 유서 깊은 사찰인 보물 고운사의 가운루와 연수전은 전소됐고 , ▲ 1700 년대에 건립된 국가지정 민속 문화 유산인 사남고택도 전소됐으며 , ▲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인 안동 국탄댁 * · 송석재사 **· 지촌종택 *** 등도 전소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

* 조선 후기 전통가옥 , 조선 후기 문신 지촌 김방걸 선생의 후손 김시정 공이 분가하면서 조선 영조 33 년에 지은 집

** 조선 중기 재사 ,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운 김철의 묘를 지키는 재실

*** 조선 중기 전통가옥 , 김방걸 선생을 모시는 종가

추가적인 피해를 대비해 보물인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은 안동청소년 문화센터로 ,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과 오불회 괘불탱은 영주 소수박물관으로 이동하는 등 국가지정 동산문화유산 18 건 (1,563 점 ) 과 시도유형문화유산 5 건 (17 점 ), 문화유산자료 1 건 (1 점 ) 은 긴급 이송조치했다 .

문제는 피해를 입은 국가유산에 대한 신속한 지원이 절실하지만 , 올해 국가유산 긴급보수비 예산 총 45 억 원 가운데 15 억 원은 이미 집행이 예정되어 있어 남은 예산으로는 신속한 복구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

김승수 의원은 집중호우뿐만 아니라 지진과 산불 등 자연재해로 인한 국가유 산의 피해 빈도와 강도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긴급보수사업비 예산이 매년 부족해 피해복구가 제때 이뤄지지 않는 실정을 지적하며 예산 증액을 요구해왔다 .

국가유산은 한번 소실되면 복원이 어렵기 때문에 선제적 대응책 마련과 신속한 초기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 2005 년 4 월에는 강원 양양 산불로 낙산사가 전소됐고 , 2008 년 2 월에는 방화로 국보 1 호 숭례문이 전소돼 복원에 투입된 비용만 250 억 원에 달했다 . 2009 년 12 월에는 여수 향일암 대웅전이 전소되는 등 화재로 인한 국가유산 피해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

이처럼 화재로 인한 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유산청의 화재 대응 매뉴얼은 사실상 유명무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 국가 유 산청 「 화재 등 대응매뉴얼 가이드라인 」 에 따르면 동산문화유산 반출 시 1 차 소산 장소 위치 2 개소 이상 지정 등을 권장하고 있지만 , 관리단체가 실제 가이드라인에 맞춰 대응 매뉴얼을 작성하고 있는지 등 최소한의 확인 절차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

김승수 의원은 “ 국가유산의 소실은 우리의 역사를 잃는 것과 같다 ” 면서 “ 화재뿐 아니라 장마나 폭우 등 자연재해에 대비하여 국가유산을 보호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 마련을 지속적으로 촉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미비하다 ” 고 지적했다 .

김 의원은 “ 이번 화재로 피해를 입은 국가유산 복구를 위한 신속하고 충분한 예산 확보 등 특단의 대책을 촉구한다 ” 면서 “ 또 다시 우리 소중한 문화유 산을 잃는 일이 없도록 화재대응 매뉴얼 개선이 필요하다 ” 고 강조 했다 .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Akismet을 사용하여 스팸을 줄입니다. 댓글 데이터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