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 농장 단위의 맞춤형 기상재해 정보와 대응 지침을 농업인에게 문자 알림 등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인 , ’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 ‘ 의 가입률이 5% 대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농촌진흥청이 2016 년부터 추진 중인 조기경보서비스는 농가별 맞춤형 기상 · 재해 정보를 사전에 제공함으로써 이상기상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예방하는 것 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그러나 도입 이후 9 년이 지났음에도 가입률은 5.42%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
정희용 의원 ( 경북 고령군 · 성주군 · 칠곡군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 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 최근 5 년간 연도별 조기경보서비 스 가입률은 2021 년 4.97%, 2022 년 3.71%, 2023 년 3.56%, 2024 년 4.14%, 2025 년 9 월 기준 5.42% 로 확인됐다 .
올해 9 월 기준 , 시도별 가입률은 전북 (11.81%) 이 가장 높았으며 , 전남 (8.91%), 경북 (7.34%), 경남 (4.20%), 충북 (2.88%), 충남 (2.30%), 강원 (1.96%), 경기 (1.49%), 특별 · 광역시 (0.21%) 순이었다 .
* 제주도 서비스 보급 전 / 시도 가입률 (%) = ( 가입 농가수 / 보급 시도의 전체 농가수 *) × 100
이에 대해 농진청은 ’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의 농업인 이 많고 , 가입률을 높이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는 입장을 밝혔다 .
한농연 역시 “2024 년 기준 전체 농가 인구의 39.2% 에 달하는 78 만 5 천여명이 고령농인데 ,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 활용이 어려워 이를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 ” 며 “ 고령농은 카카오톡보다는 문자서비스를 선호하고 , 지자체와 연계하여 대면으로 개인정보 이용 동의를 받아 문자서비스 제공받는 방안도 검토해봄직하다 ” 고 밝혔다 .
정희용 의원은 ”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이듯 , 아무리 좋은 시스템이라도 농업인들께서 체감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 이상기후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도록 가입률 제고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 이어 “ 가입률 제고를 위해 지역별 농촌지도사가 개별 농가 방문을 통해 가입을 도와드리거나 , 농식품부 농작물재해보험과의 연계를 추진해 홍보하는 등 실질적인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 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