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4 대 과학기술원 (KAIST·GIST·DGIST·UNIST) 내 고위험 연구실에서 최근 5 년간 약 70 건 , 한 해 평균 14 건꼴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 유해화학물질과 독성가스 등 유해인자를 취급하는 ‘ 고위험연구실 ’ 이 증가세인 반면 , 안전 관련 예산의 일관성은 떨어져 개선 필요성이 제기된다 . 특히 레이저로 인한 안구 손상 , 실험 중 폭발로 인한 화상 등 중대 사고까지 반복되고 있어 우려가 잇따른다 .
더불어민주당 이정헌 의원 (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 이 24 일 ( 금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청사에서 실시된 국정감사에서 지적한 바에 따르면 , 지난해 전국 8 만 9238 곳의 연구실 가운데 5 만 5694 곳이 ‘ 고위험연구실 ’ 로 분류됐다 . 이는 2020 년 (4 만 8586 곳 ) 에 비해 약 7000 곳 이상 크게 증가한 수치다 . 같은 기간 중위험연구실은 800 여 곳 늘어나는 데 그쳤고 , 저위험연구실은 소폭 줄었다 .
고위험연구실은 과기부 고시인 ‘ 연구실 설치운영에 관한 기준 ’ 상의 분류에 따른 개념이다 . 해당 고시는 연구실을 고 · 중 · 저위험연구실로 나누는데 , 종사자의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독성가스 , 화학물질 등의 유해인자를 취급하는 경우가 고위험연구실에 해당한다 .
실제로 현장에서 고위험연구실 사고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 이정헌 의원실이 4 대 과기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고위험연구실에서는 올해 들어서만 8 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 화상 , 베임 같은 사고가 흔했고 , 화학물질 및 증기에 신체가 노출되는 사례도 있었다 . 지난 6 월 KAIST 에서는 원인 미상의 폭발 사고로 박사과정 중이던 20 대 연구원이 화상 · 열상 등 중상을 입었다 .
최근 5 년간 4 대 과기원 고위험연구실에서 발생한 사고는 총 70 건에 달했다 . 이 가운데 KAIST 가 중대사고 (1 건 ) 을 포함해 34 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 DGIST 16 건 , UNIST 14 건 , GIST 6 건 순으로 뒤따랐다 . 사고자 다수는 학생으로 파악됐다 . KAIST 의 경우 5 년간 벌어진 34 건의 사고 가운데 30 건이 석 · 박사 , 3 건이 학사 과정생에게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
비슷한 사고가 되풀이되기도 했다 . GIST 에서는 2021 년 레이저 실험 중 난반사된 광선에 연구원이 안구를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는데 , 이듬해에도 동일한 유형의 사고가 보고됐다 .
크고 작은 사고가 꾸준히 발생했지만 , 각 기관의 안전관리 예산은 해마다 증감을 반복하며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 GIST 는 지난해 약 7 억 600 만원의 연구실 안전관리 예산을 편성했으나 , 올해는 5 억 9800 만원 수준으로 줄었다 . DGIST 역시 2023 년 약 11 억 6228 만원에서 이듬해 5 억 3248 만원으로 1 년 만에 예산이 반토막났다 .
이정헌 의원은 “ 첨단 과학기술 연구 수요가 늘면서 고위험연구실이 급증하는 가운데 학생들이 불안정한 안전관리 예산으로 사고 위험에 노출된 상태 ” 라며 “ 미래를 짊어진 연구자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연구에 매진할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국가의 책무 ” 라고 강조했다 .
이에 이광형 KAIST 총장은 “ 매우 죄송스럽게 생각한다 ” 라고 사과했다 . 임기철 GIST 총장은 “ 안전관리 우수 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다 ” 라고 답했다 .
실험실 안전 예산의 불안정성 지적과 관련해 이건우 DGIST 총장은 “ 회계상의 문제 ” 라고 답했다 . 박종래 UNIST 총장은 “ 현안 대응을 위해 늘었다가 , 안정화되면 평상을 회복하는 구조 ” 라고 설명했다 .
구혁채 과기부 제 1 차관은 “( 고위험연구실 안전관리 ) 대책을 마련하겠다 ” 라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