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시대 속 경인일보를 비롯한 지역 언론사들의 가치와 역할 , 미래의 전략을 모색하는 공론의 장이 마련된다 .
올해로 창간 80 주년을 맞이한 경인일보가 주관하고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 , 더불어민주당 김승원 ( 수원갑 ) 의원이 공동 주최한 ‘ 지역 언론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 토론회가 11 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2 층 제 2 소회의실에서 열린다 .
이날 토론회에는 홍정표 대표이사 사장과 조영상 편집국장을 비롯한 경인일보 임직원 , 여야 국회의원 , 언론계와 학계 , 경기지역 지방자치단체 홍보 담당자 등 약 100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토론회는 내빈소개와 발제 , 지정토론 방식으로 진행되며 , 황의갑 경인일보 독자위원장 ( 경기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 가 좌장을 맡아 지역 언론의 현주소와 디지털 시대 언론의 미래전략 등에 대해 다양한 제언을 수렴할 예정이다 .
발제자로 나선 조용준 경인일보 독자위원회 위원 ( 경제학 박사 ) 과 김해영 박사 (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 ) 는 각각 ‘ 지역 언론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 ‘ 디지털 시대 지역신문 가치의 재발견과 발전 방향 ’ 등 각 분야에 대한 주제를 발표한다 . 특히 , 조용준 박사는 발제문에서 “ 여러 대안매체의 등장으로 전통 언론의 독점적 영향력이 약화됐고 , 광고도 줄어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며 “ 언론은 권력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닌 시민의 눈치를 보게끔 구조 변화를 이뤄 그 독립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유지해야 한다 ” 고 지적하고 , 시민 선택의 결과에 따라 차등 지원하는 ‘ 시민참여형 공익구독제 ’ 를 도입해 언론의 재정적 자립 기반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이 제도가 시행되면 지역 언론이 권력 감시자 , 공론장 조성자 , 지역 정체성의 기록자로서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
두 번째 발제에 나설 김해영 박사는 “ 지역신문은 단순한 뉴스 매체를 넘어 , 지역의 역사와 의제를 기록하고 축적하는 공공 데이터베이스로 기능한다 ” 며 “ 지역신문 지원 정책은 효율성 중심으로 접근해선 안 된다 . 지역신문은 민주주의의 필수재이기 때문 ” 이라고 강조하면서 , 최근 레거시 언론의 위기 속에 활성화되고 있는 디지털 AI 환경과 포털뉴스 확대에 대해 ‘ 기금 외의 지원과 협업모델 개발 ’, ‘AI 와 방송사업자 , 포털 등과 상생 · 협업 도모 ’ 등 미래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전망이다 .
이어질 1, 2 차 지정토론에서는 김위근 퍼블리시 최고연구책임자 , 윤태욱 문화체육관광부 미디어정책과장 , 민진영 경기민주언론 시민연합 공동대표가 나서 ▲ 지역언론에 대한 정부의 지원금 확대 ▲ 지역언론사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 미디어바우처 제도 도입 등 현안 이슈에 대한 열띤 토론이 이어질 전망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