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미애 의원, “K- 푸드 수출에 국내산 농산물 사용하기 위해 쌀 등 품목별 수출전문단지 육성 필요 ”

임미애의원 ( 비례대표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 에게 제출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자료에 따르면 수출가공식품 국산 농수축산물 사용 비중은 2023 년 기준 31.9% 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

□ 2015 년 ~2024 년 가공식품 국산 농수축산물 사용 통계

( 단위 톤 , %)

연도 전체 원료 사용량 국산원료 사용량 국산 비중
2015 16,339,576 5,152,668 31.5%
2016 16,511,606 5,188,829 31.4%
2017 17,151,146 5,382,154 31.4%
2018 17,871,369 5,598,275 31.3%
2019 18,575,447 5,846,940 31.5%
2020 18,553,726 5,921,679 31.9%
2021 18,717,992 5,931,338 31.7%
2022 18,773,761 5,971,673 31.8%
2023 18,812,817 5,995,119 31.9%

자료원 식품산업 원료소비 실태조사 (`24 년 통계는 `26 년 1 월 중 발표 예정 )

최근 K- 푸드의 인기에 힘입어 가공용 쌀로 제작한 즉석밥 수출실적도 수직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에 수출하는 즉석밥 국내산이 아닌 미국산 쌀로 생산하고 있다 .

2015 년부터 2024 년까지 즉석밥 수출실적은 중량 기준으로 연평균 34.2%, 금액 기준으로는 33.4% 씩 증가했다 지난 10 년 동안 규모는 2,100 톤에서 2 만 9,600 톤으로 무려 1309.5% 증가했고 수출금액은 640 만 달러에서 8,540 만 달러로 1234.4% 증가했다 .

◦ 2015~2024 년 국가별 즉석밥 수출실적

( 단위 천톤 백만불 )
구분 미국 캐나다 호주 멕시코 홍콩 영국
중량 금액 중량 금액 중량 금액 중량 금액 중량 금액 중량 금액 중량 금액
2015 년 2.1 6.4 1.1 2.9 0.05 0.1 0.2 0.6 0.1 0.3 0.2 0.6 0.03 0.1
2016 년 3.4 10.0 2.0 5.4 0.1 0.3 0.3 0.8 0.2 0.4 0.2 0.7 0.02 0.1
2017 년 4.2 12.4 2.6 7.0 0.1 0.4 0.3 1.0 0.2 0.5 0.2 0.7 0.04 0.2
2018 년 5.8 17.0 3.8 10.3 0.2 0.6 0.3 1.1 0.3 0.7 0.2 0.8 0.1 0.2
2019 년 7.6 24.0 5.3 15.5 0.1 0.4 0.4 1.3 0.2 0.4 0.3 0.9 0.1 0.3
2020 년 12.4 36.7 9.8 27.5 0.2 0.7 0.3 1.1 0.2 0.5 0.4 1.5 0.1 0.2
2021 년 16.6 47.0 13.7 35.9 0.2 0.7 0.4 1.5 0.3 0.7 0.4 1.6 0.1 0.4
2022 년 21.9 64.3 18.5 51.8 0.3 1.1 0.5 2.0 0.2 0.7 0.5 1.6 0.2 0.7
2023 년 26.7 78.8 22.9 65.4 0.3 1.3 0.8 2.8 0.4 1.1 0.3 1.2 0.2 0.6
2024 년 29.6 85.4 23.8 65.7 1.5 4.0 0.9 3.5 0.5 1.3 0.3 1.1 0.3 1.1

출처 한국무역통계진흥원 , 2024 년 기준 상위 6 개국 수출실적

** 즉석밥 품명의 세번 (HS CODE) 이 부재하여 수출업체가 주로 신고하는 찌거나 삶은쌀 (1904.90-1010) 세번 기준으로 수출실적 작성

즉석밥 수출은 미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절대적이다 . 2024 년 기준으로 미국은 전체 수출 중량의 80.4%, 수출 금액의 76.9% 를 차지할 정도로 미국의 수출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임미애 의원실 조사에 따르면 해외 수출실적 1,2 위를 다투는 대기업의 수출용 석밥은 국내산쌀을 사용하지 않고 미국의 캘리포니아산 중립종인 칼로스 쌀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식품기업들은 주로 TRO( 저율관세할당물량 수입쌀을 통해 미국 쌀을 구입한다 .

업계에 따르면 미국 수출용 즉석밥에 국산 쌀을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양국의 농약잔류기준 제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사용이 허용된 농약 성분이 미국 기준으로는  불검출  되어야 하는 등 국내산 쌀이 미국 농약 잔류허용 기준을 맞추기 어려운 현실적 제약이 있다 국내 쌀에 잔류 기준이 설정된 농약 175 개 중에 미국에서 불검출 기준을 적용하는 농약은 총 107 에 달한다 .

농약잔류기준의 국내와 미국 기준 비교

[ 단위 : ppm, mg/kg]

검출농약 국내규격 미국규격
ACETAMIPRID 0.3 불검출
CARBENDAZIM 0.5 불검출
FENOBUCARB 0.5 불검출
FENOXANIL 1.0 불검출
FERIMZONE 2.0 불검출
HEXACONAZOLE 0.3 불검출
THIACLOPRID 0.1 불검출
TEBUCONAZOLE 0.2 불검출
ISOPROTHIOLANE 2.00 1.5
PROPICONAZOLE 0.7 7.0
TRICYCLAZOLE 0.7 3.0

임미애의원은  미국수출용 쌀 전문단지를 조성해서 미국의 농약관리에 부합한 재배방식으로 관리하고 물류유통단계도 감축하여 가격경쟁력 확보를 통해 국내쌀이 미국수출용 즉석밥에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고 지적했다 .

문제는 주무 기관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aT) 조차 K- 푸드 수출과 국산 농산물 사용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 aT 는 지난 9 월 16 일 ‘K- 푸드 식품영토 확장  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는데 정작 행사장에 마련된 전시 부스에는 미국산 쌀로 만든 즉석밥이 버젓이 전시된 사실이 드러났다 . K- 푸드의 성과를 홍보하면서 정작 국산 농산물은 외면한 모순적인 행태라는 비판이 나온다 .

임미애의원은  국내농산물 수출확대를 추진하겠다는 aT 행사에 미국산 쌀 상품을 전시하는 것은 K- 푸드의 성과를 자랑하면서 정작 우리 농산물은 외면하는 정책의 모순을 드러낸 것  이라고 지적했다 .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Akismet을 사용하여 스팸을 줄입니다. 댓글 데이터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