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대비 매출액·관객수 감소, 하반기 영화 시장 활력 기대 – 2025년 상반기 한국 영화산업 결산 발표

영화진흥위원회는 31일 2025년 상반기 영화산업 결산을 발표하였다.
□ 상반기 전체 매출액 4079억 원ㆍ 관객 수 4250만 명, 전년 대비 32% 이상 감소
2025년 상반기 극장 전체 매출액은 4079억 원 , 전체 관객 수는 4250만 명을 기록하며 전년인 2024년 상반기 대비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3.2%(2024억 원), 관객 수는 32.5%(2043만 명) 감소했다 .

□ 메가 히트작은 부재했지만 , 중급영화 흥행 선전 주목

2025년 상반기 한국영화는 <야당> <히트맨2> <승부> 등의 중급 영화의 선전이 주목을 받았다. 다만, <파묘>와 <범죄도시4>라는 두 편의 ‘천만 영화’가 탄생했던 2024년 상반기에 대비해서는 매출액과 관객수가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2025년 상반기 한국영화 매출액은 2038억 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서 43.1%(1545억 원) 줄었고, 관객 수는 2136만 명으로 42.7%(1594 만 명) 감소했다 . 한국영화 매출액 점유율은 50%로 전년 동기 대비 8.8%p 감소했으며, 한국영화 관객 수 점유율은 50.3%로 전년 동기 대비 9.0%p 감소했다 .

□ 외국영화 흥행 부진 , IMAX 등 특수상영 매출액 2 년 연속 감소

외국영화의 흥행 성적은 다소 부진했다 . <미션 임파서블 : 파이널 레코닝> 과 <미키 17>이 선전했지만 < 인사이드 아웃 2> <웡카 > 등의 흥행작이 나왔던 2024 년 상반기의 흥행 성적에는 미치지 못해 , 전년 대비 외국영화의 매출액· 관객 수가 감소했다. 2025년 상반기 외국영화 매출액은 2042 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9%(478억 원) 감소했고, 관객 수는 2562만 명으로 17.5%(449 만 명) 감소했다 .

IMAX 및 ScreenX 등 특수상영의 전체 매출액은 2025년 상반기 293 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2%(88 억 원) 감소했고 , 특수상영 전체 관객 수는 191 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67만 명) 줄어들었다. 특수상영 매출액은 2023년 790억 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024년 381억 원, 2025 년 293억 원으로 2년 연속 감소했다.

□ 극장 자구책으로 떠오른 ‘단독 개봉’, 침체된 시장 속 극장 노력 잇따라

2025년 상반기 극장가의 신작 가뭄과 매출액 및 관객 수 하락이 이어지며 자구책을 마련하기 위한 영화관의 새로운 시도가 눈에 띄었다 . 메가박스는 지난 3월, 단독 개봉 콘텐츠 브랜드 ‘메가 온리(MEGA ONLY)’ 를 런칭하고 <극장판 진격의 거인 완결편 더 라스트 어택>을 독점으로 개봉했다 . 해당 영화는 상반기 95억 원 매출액(관객 92만 명)을 기록하며 메가박스 단독 개봉작 중 최고 흥행을 달성했다. 롯데 시네마도 유사한 컨셉의 ‘롯시픽’ 브랜드를 통해 백희나 작가의 < 알사탕> 단편 애니메이션을 단독 개봉하였고, 한 달 만에 5억 원(관객 10만 명)의 매출을 기록하며 단편 영화 역대 흥행 3위에 올랐다. CGV 또한 자사 특수상영관을 활용하여 팬덤을 겨냥한 공연실황 영화의 단독 개봉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및 대중문화 아티스트 팬덤 등 타겟 관객층이 명확한 단독 개봉을 통해 관객 감소 위기를 타개하려는 극장들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 입소문 흥행에 따른 장기 상영과 스크린 집중도 완화

신작 개봉은 줄었지만, 입소문 흥행에 성공하는 영화가 늘어나며 영화상영 기간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올해 상반기 흥행 1, 2위에 오른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과 <야당> 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에 개봉했던 유사한 조건의 <베놈>(2018 년 10월 3일 개봉), <악인전 >(2019년 5 월 15일 개봉)과 비교해 극장에서 100개 관 이상 상영한 기간이 20일 이상 늘어났다. 신작 개봉이 많고 영화 소비 속도가 빨랐던 코로나19 이전과 달리, 신작 개봉 감소 및 영화 관람요금 인상 등으로 관객의 영화 선택이 신중해진 최근의 경향이 영향을 주며, 입소문이 난 영화에는 꾸준히 관객이 들어 상영 기간이 팬데믹 이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스크린 집중도’ 현상도 완화되는 모습이었다. 2025년 상반기 최고 상영 점유율을 기록한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의 55% 상영 점유율은 역대 최고 상영 점유율 1, 2위인 2024년 <범죄도시4> 의 82.0%, 2019년 <어벤져스: 엔드게임>의 80.9%와 비교해 대폭 줄어든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최고 상영 점유율 3위까지 영화의 상영 점유율은 한국영화 최대 호황기였던 2019년과 2024년 상반기에 50% 중반에서 80% 초반인데 반해 2025년 상반기는 모두 50% 초중반 수준에 머무르며 스크린 집중도가 완화된 경향을 보였다.

□ 상반기 흥행 1위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배급사 1위는 바이포엠

2025년 상반기 흥행 1위는 <미션 임파서블 : 파이널 레코닝> 으로 매출액 329 억 원(관객 수 336만 명) 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야당> 이 매출액 320억 원( 관객 수 338만 명)으로 2위에 올랐다. 봉준호 감독의 할리우드 영화 <미키 17>이 매출액 297 억 원(관객 수 301만 명)의 매출로 3 위였고, 한국 감독 연출작으로는 사상 처음 북미 주말 박스 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배급사 순위로는 <히트맨2> <승부> 등 7편을 배급한 신생 배급사 (주)바이포엠스튜디오가 매출액 535억 원, 매출액 점유율 13.1%로 2022년 영화 사업 진출 이래 처음으로 상반기 배급사 순위 1위에 올랐다. 2위는 워너브러더스 코리아㈜로 <미키 17> , <마인크래프트 무비> 등 9 편을 배급을 통해 매출액 508억원, 매출액 점유율 12.5%를 기록했다. <미션 임파서블 : 파이널 레코닝>을 배급한 롯데컬처웍스(주 )롯데엔터테인먼트가 매출액 467 억 원, 매출액 점유율 11.4%로 3위, <하이파이브> 의 배급사 (주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NEW) 가 매출액 450억 원 , 매출액 점유율 11.0%로 4위였다 .

□ K-애니메이션 저력 보여준 < 퇴마록> 독립 ·예술영화 상반기 흥행 1 위

독립 ·예술영화에서는 국산 애니메이션 <퇴마록> 이 47억 5570만 원(관객 수 50만 1702명)의 매출로 상반기 독립· 예술영화 흥행 1위(전체 흥행 20 위)에 올랐다. 1000만 부 이상 판매된 판타지 소설을 원작으로 한 <퇴마록>은 전체관람가 등급이 아닌 한국 애니메이션 중에서 역대 최고 흥행 기록을 달성했다. 2025 년 상반기 역시 전년과 마찬가지로 영화제와 시상식 수상을 통해 작품성을 인정받은 독립·예술영화들이 극장가에서 선전하였다. <서브스턴스>(독립·예술영화 흥행 2위, 전체 흥행 23 위) <콘클라베 >(독립· 예술영화 흥행 3위 , 전체 흥행 26 위) <플로우>(독립 ·예술영화 흥행 4 위, 전체 흥행 39위) 등이 흥행에 성공하며 독립·예술영화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

□ ‘영화 쿠폰’ 배포와 다양한 흥행 기대작 개봉으로 하반기 영화시장 활력 기대

하반기에는 영화 관람객들의 발길을 돌릴 다양한 요소들이 포진해있다. 7월 25 일부터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는 영화관 입장권 6천원 할인권 (총450 만장)을 배포하여 관객들이 영화관으로 향하는 문턱을 대폭 낮추었다.

더불어 여름시장의 포문을 연 블록버스터 한국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을 시작으로 조정석 주연의 <좀비딸>, 2019년 여름 시장에서 942만명을 동원했던 <엑시트>를 연출한 이상근 감독의 신작 <악마가 이사왔다>, 베니스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된 박찬욱 감독의 <어쩔 수가 없다> 등 다양한 한국영화 기대작들이 개봉을 기다리고 있다. 외국영화 역시 1, 2편 모두 국내에서 천만 관객을 돌파한 3 번째 시리즈 영화 <아바타 : 불과 재>, 전편 470만 관객을 동원한 <주토피아2>, 작년에 개봉하여 호평을 받았던 <위키드> 속편인 < 위키드: 포 굿 > 등이 하반기에 관객을 만날 예정이다.

‘영화 쿠폰 ’ 배포와 함께 다양한 국내외 흥행 기대작들이 개봉함에 따라 하반기 영화시장이 다시 활력을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Akismet을 사용하여 스팸을 줄입니다. 댓글 데이터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세요.